통신 프로그램 사용법
파워씬에서 통신기능은 '드라이버 서버' , '드라이버 런처' , '드라이버 모니터' 프로그램에서 담당합니다. 프로그램 별 구성과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파워씬 실행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'드라이버 서버'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.
- '드라이버 서버' 프로그램은 데이터 베이스 정보를 읽어 '통신 채널 그룹' 별로 '드라이버 런처' 프로그램을 실행 합니다.
- '드라이버 런처' 프로그램은 자신의 그룹에 속한 통신 채널 정보를 읽어 현장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담당하게 됩니다.
- '드라이버 모니터'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필요할 때 실행한 후 '드라이버 서버' 에 연결해 디바이스와 통신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'드라이버 서버' 와 '드라이버 런처' 는 백 그라운드로 실행됩니다.
드라이버 모니터
드라이버 모니터는 파워씬의 통신 모니터링 프로그램 입니다. 드라이버 모니터는 통신 패킷을 모니터링 하거나 통신 프로그램 실행 정지 등과 같은 통신 관련 설정 작업을 실행 할 때 사용 됩니다.
<드라이버 모니터 프로그램>
드라이버 모니터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통신 패킷 모니터링 : 디바이스와 통신패킷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통신 데이터의 확인 : 원격장치(IED, RTU, PLC)와 통신 드라이버 프로그램 사이의 통신 내용과 통신을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통신 상태 감시 : 통신 드라이버 프로그램과 원격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와 통신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통신 채널 그룹 실행 및 정지 : 통신 채널 그룹(드라이버 런처 프로그램)을 시작하거나 종료 할 수 있습니다.
- 통신 채널 연결 실행 및 해제 : 통신 채널 별로 통신 연결을 해제하거나 연결할 수 있습니다.
- 드라이버 서버 관리 : 드라이버 서버와 모니터 프로그램이 동일한 컴퓨터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드라이버 모니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드라이버 서버 프로그램을 종료하거나 실행할 수 있습니다.
- 드라이버 로그 파일 삭제 주기 설정 : 통신 프로그램에서 기록한 통신 로그 파일의 보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로그의 증가로 인해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가득 차는 것을 방지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