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측 정보 설정
계측 항목은 포인트를 통신을 통해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읽어 오거나, 디바이스를 제어 (주소에 데이터 쓰기) 할 때 입력 하는 항목 입니다. 입력 항목은 크게 '입력 주소' 와 '출력 주소' 로 구분되며 세부 입력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.
포인트를 내부 연산 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'계측 정보 '를 입력 하지 않습니다.
※ (*)필수 입력 항목
입력 주소 |
포인트를 이용해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어 올 때 사용 합니다. 입력 필드 A , B , C , D 에 디바이스에서 읽을 데이터 주소를 입력 합니다. 세부 입력 방법은 프로토콜 별로 다르기 때문에 '통신 드라이버 설정' 항목을 참고해서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에 맞게 입력 합니다. |
|
(1) 기본 입력 주소* |
기본 읽기 주소 입니다.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읽는 포인트면 필수로 입력 합니다. |
|
(2) 확장 입력 주소 |
확장 필드이며, 사용 시 '입력 주소' 와 '확장 주소' 에서 읽은 후 두 값을 조합하여 하나의 값으로 변환 합니다. 확장 주소를 사용 하려면 '데이터 변환 형식'을 '이중 비트 첫 번째 비트 On' 으로 선택 합니다. 확장 주소는 '전력 감시' 시스템의 차단기(Breaker)의 상태(OPEN/CLOSE) 접점과 같이 ON 접점과 OFF 접점의 값을 읽은 후 두 접점의 값을 조합해 0 , 1 , 2 , 3 으로 변환 하여 사용 됩니다. 본 기능은 일부 통신 드라이버만 지원 하며 지원하는 통신 드라이버는 다음과 같습니다. • ModBus • DNP 3.0 |
|
출력 주소 |
포인트를 이용해 디바이스를 제어(주소에 데이터 쓰기) 할 때 사용합니다. 포인트가 데이터를 읽는 용도로만 사용하면 출력 주소 항목을 입력 하지 않습니다. 일반적으로 상태 포인트를 이용해 제어 하는 경우 HMI 화면이나 스크립트에서 ON (1) , OFF (0) 값을 제어 값으로 사용 합니다. ※ 스크립트를 이용한 제어 예 # OFF 제어 remote.setValue('차단기 제어', 0) # ON 제어 remote.setValue('차단기 제어', 1) 출력 주소는 스크립트나 HMI에서 포인트에 ON (1) , OFF (0) 쓰기 명령을 실행 했을 때 데이터 값을 쓸 데이터 주소와 제어 값 ON(1) , OFF(0)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에 써야 하는 실제 값을 값을 입력 합니다. 세부 입력 방법은 프로토콜 별로 다르기 때문에 '통신 드라이버 설정' 항목을 참고해서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에 맞게 입력 합니다. |
|
(3) 기본 출력 주소* |
값을 쓸 디바이스의 주소를 입력 합니다. 기본 출력 주소는 ON (1), OFF(0) 명령 실행 시 각 명령에 따라 써야 할 ON, OFF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주소가 동일하고 디바이스에 써야 하는 값이 ON 명령 시 1 , OFF 명령 시 0 일 때 기본 출력 주소만 입력 합니다. |
|
(4) 확장 출력 주소 |
확장 출력 주소는 HMI에서 OFF 명령과 ON 명령 실행 시 디바이스에 쓸 정보를 각각 입력 합니다. 기본 출력 주소와 확장 주소에 입력해야 하는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. 기본 출력 주소 : OFF 명령 시 장치에 쓸 정보를 입력 합니다. 확장 출력 주소 : ON 명령 시 장치에 쓸 정보를 입력 합니다. 일반적으로 확장 출력 주소는 다음과 아래와 같은 경우에 사용 합니다. (1) ON (1), OFF(0) 명령 실행 시 ON, OFF 값에 따라 써야 하는 디바이스의 주소가 서로 다를 때. (2) ON (1), OFF(0)명령 실행 시 ON과 OFF에 해당 하는 값이 ON -> 1 , OFF -> 0 이 아닌 다른 값일 때 |
|
(5) 펄스 제어 |
펄스 제어 사용 시 ON 명령을 실행 했을 때 설정한 펄스 시간이 지난 후 OFF 명령을 자동으로 디바이스에 전송 합니다. 펄스 제어는 HMI에서 실행한 명령이 ON 명령일 때만 동작 합니다. 펄스 제어를 지원하는 프로토콜 드라이버는 아래와 같습니다. • ModBus • DNP 3.0 • IEC 60870 5-101, 104 • 대부분의 PLC 프로토콜 |
|
(6) 펄스 시간 |